가톨릭과 조상제사, 그리고 하나님의교회 가톨릭의 제사 허용 “민간신앙과 풍습을 제거하지 말고 그리스도교 교리로 변환시켜라.” 서기 601년, 교황 그레고리우스 1세는 선교사들에게 이 같은 칙령을 내렸습니다. 만약 한 나라에서 사람들이 나무를 숭배한다면, 그 나무를 제거하지 말고 예수의 이름으로 거룩하게 한 뒤 계속 나무를 신앙하라는 의미입니다. 교황의 이 같은 시도는 이교도들을 가톨릭신자로 탈바꿈시키는 데 매우 큰 효과를 거두었습니다. 이후 가톨릭은 대부분의 민간신앙을 용납했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가톨릭 선교방침의 한 부분으로 정착되었습니다. 가톨릭이 그동안 거부했던 조상숭배 제사를 받아들인 이유도 이 때문이라 할 수 있습니다. 동양의 제사제도가 본격적인 가톨릭의 교리로 용납된 것은 교황 비오 12세 ..

하나님의교회와 조상 제사의 유래 조상 제사의 유래 조상 제사, 즉 차례(茶禮)를 지내는 모습은 설과 추석을 맞아 해마다 두 차례씩 되풀이되는 우리나라의 명절 풍속도에 섞인 아이러니한 풍경이 아닐 수 없다. 영혼의 존재를 믿거나 믿지 않거나 상관없이 일제히 조상에게 제사, 즉 제례를 행한다. 내세와 영혼의 존재를 부인하는 사람들도 그날만큼은 샤머니스트인 듯 이 제사의식에 으레 참여한다. 홍동백서니 어동육서니 하며 상다리가 휘어지도록 제상을 차리고, 3~4대에 이르는 조상들의 이름을 쓴 위패를 올리고, 혼령을 불러들이기 위한 의식으로 향을 피운 후, 두 차례에 걸쳐 큰절을 한다. 우리나라의 오랜 관습과 정서상으로는 당연한 것 같지만, 실상 그 이면을 들여다보면 머릿속에 수많은 물음표들이 떠다니는, 얄궂은 풍..
유교의 제사는 조상을 위한 것인가? (하나님의교회) 유교의 제사는 조상을 위한 것인가? (하나님의교회) 벌써 9월 한달도 다 지나가고 10월이 시작되었습니다 10월 4일은 추석 대명절입니다 사실상 금요일 저녁부터 시작된 기나긴 명절 연휴 요즘은 시대가 바뀌면서 긴 명절 기간동안 여행을 가는 가정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제사의 준비로 인해 여자들에게 명절은 명절이 아닌 곤혹스럽고 힘든날로 각인되어 있습니다 대한민국 많은 주부들이 얼굴 한번 보지도 못하고 이름조차 알지 못하는 조상들의 제사를 홍동백서, 좌포우혜, 조율이시 등 까다로운 절차로 준비하고 있습니다 아무리 힘들고 어려워도 제사를 지내지 않으면 '예의없고 효심이 없는 사람'으로 낙인 찍히기도 합니다 유교의 제사는 조상을 위한 것인가? (하..
설을 맞으며 대명절 설이 내일로 다가왔네요~ 많은 분들이 고향에 계신 부모님을 찾아뵙고 가족들을 만난다는 설렘으로 들뜬 채 차를 타고 이동중이실텐데요~ 출처:플리커 설을 맞으며(하나님의교회/안상홍님) 설날 하면 떡국도 생각나고 세배돈도 생각나고 맛있는 음식도 떠올리게 되는데 주부에 입장에서 대표적으로 떠오르는게 아침에 차례상을 차리는 것이 가장 먼저 생각나고 걱정이 됩니다 ~ 이러한 풍습이 언제부터 내려오는 것일까요?? 출처:플리커 설을 맞으며(하나님의교회/안상홍님) 사가들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명절이 지금처럼 조상 제사로 일관된 건 조선시대부터라고 합니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중국을 상국(上國)으로 여겨 중국인들의 학문과 사상, 문화 등 많은 것을 받아들이게 되었지요 ... 조선의 초대 왕 이성계는 ..